본문 바로가기
여행,맛집

제주흑돼지맛집 best5 아일랜더(섬사람)가 추천하는 흑돼지맛집 물고 뜻고 맛보고 즐기고

by 서연잉♡ 2022. 9. 20.

아일랜더들이 흑돼지고기 먹는 tip 고사리를 싸서 멜젓에 찍어 먹어요^^
아일랜더들은 고사리철이되면 곶자왈과 오름에 햇고사리를 따러다녀요 햇고사리는 향이좋아 꽃에벌꿀들이 꿀을발르듯 고사리에도 꿀벌이 꿀을발라요 제주도 햇고사리를 꺽으러다니는사람들로 북쩍이죠 흑돼지에 고사리를 싸서 먹으면 꿀맛 흑돼지는 제주도 대표음식 수많은곳을 다 다녀보았지만 아일랜더 5식당을 추천합니다 어렸을적 때부터 가던 식당도 있고 사회초년생때 사회생활 첨 월급으로 회사원들이랑 가던 식당 데이트 맛집인 식당 모두 제겐 추억의 맛집이네요 이젠 다 웨이팅이네요 ^^ 😀

1. 숙성도

제주 제주시 원노형로 41 1층


제주도 중심가에 위치한 숙성도 뼈 등심 추천
명란젓갈 고추냉이 고사리가 고기랑 잘 어울린다

2. 돔베돈

제주 제주시 관덕로 15길 25


흑돼지 2인 세트 추천 흑돼지구이와 돔베고기를
둘 다 먹을 수 있다 일석이조

3. 돈사돈

제주 제주시 광평 동로 15

연탄 구이 흑돼지 근고기 추천 멜젓이랑
잘 어울린다
관광객보다는 도민들이 더 많다 근고기 마니아들이 찾는 식당


4. 칠돈가

제주 제주시 서천길 1



흑돼지 근고기 추천 장아찌랑 잘 어울린다 근고기 전문점이라 백돼지 근고기도 흑돼지 근고기 못지않게 맛있다

5. 바다를 본 돼지

제주 제주시 한경면 판포 1길 16 1층 바다를 본 돼지 제주 협재 판포점




바다를 본 돼지 런치세트 추천 흑돼지구이와 돌솥밥 해물된장찌개 전복내장 소스 가성비가 좋다
밤바다 야경까지 ^^




제주 아일랜드 흑돼지


제주도 흑돼지 맛으로 먹기 전 제주도 흑돼지 사육 기원도 알아볼까요 ^^

제주 흑돼지

재래 흑돼지 jeju Native Swine의 사육 기원

우리나라의 재래돼지에 대한 기록은 삼국 지위 동이전에서 고대 삼국 부여에서 관직명으로 마가 우가 저가 구가등 동물명을 사용한 사실과 삼한은 돼지기름기를 좋아하고 그 고기를 먹으며 그 가죽으로 옷을 만들어 입고 돼지기름을 몸에 발라 한기를 막는다고 한 사실이 기록되어 있어요 서기 372년 이래 불교의 전래와 함께 살생금단의 사상으로 삼국시대는 물론 고려조에서도 식용 목적으로 사용을 금지하였고 고려 말기 충숙왕 12년에 왕이 직접 금살령을 철외하고 소 닭 돼지 사육을 장려하는 교지를 내려 민간에서 식용 가축으로 기를 수 있게했다네요 조선시대에는 배불숭유 정책에 식용돼지 사육이 활발하였고 조선왕조실록 세조 32권 8년 6월에 세조 10년에 호조에서 경외 의대 소인가에서 모든 닭 돼지를 기르게 하고 그 등급을 나누어 상벌을 줄 것을 청하에 따랐다는 기록이 있어요 이익의 성호사설
금수색에는 모색에 관한 언급이 있는데 대부분의 돼지가 다 검은색 빛을 띠고 있었음을 알 수 있어 요구한 말까지 전국 각지에서 재래돼지 사육이 이루어졌으며 사육지역의 지명을 따 경기도 강화도 지방의 강화 돈 경상북도 김천 지례 지방의 지례 돈 경상남도 사천지방의 사천 돈 전라북도 정읍 지방의 정읍 돈 제주지역의 제주돈 등의 이름으로 불리었으며 각각 독특한 형태를 유지했다 고전해진대요
일제강점기 근대화 과정을 거치면서 외국에서 도입된 개량 돈아 랜드레스 요크셔 듀록 햄프셔 등과의 누진 교잡 등으로 산간 오지나 일부 도서지역을 제외하 고는 순수한 재래돼지혈통은 거의 소멸되는 위기에 처해지고 말았답니다 제주도에서 돼지사육은AD0~400년경에 야생멧돼지를 사육하면서 시작되었을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제주 재래돼지는 대체로 우마와 함께 북방으로부터 고구려시대에 유입되어 남하한것으로 추정되고삼국지위지한전의 호주에서 소와 돼지를 기르고 있다는 기록으로 약2000~3000년전부터 만주일대 13세기 고려시대 워라라지배 이후말소등 다른 가축과 함께 제주도로 도입되었다고 추정되고 있어요 만주돼지는 대형 중형 소형 품종이 있는데 이 중 운반하기 쉬운 소형종이 제주도에 유입된것으로 일부는 추측한다고해요 최근 제주도 곽지유적지에서 초기 철기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의 다양한 유물들이 출토되고 있는데 그중에 누우제목인 소 멧돼지 사슴등의 유골들이 출토되고 있는데 그중에는 우제목인 소 멧돼지 사슴등의 유골들이 다수 발굴되어 이와같은 역사적인 기록을 뒷받침하고있다고해요 유적지에서 출토된 돼지 유존체는 그것들이 당시에 제주도에서서식했던멧돼지인지아니면이미가축화된돼지들인지아직까지구분이안되고있어한치윤의해동역사제20권예지의물편에탐라는개와돼지의가죽으로옷을만들어입는다는제주도에서의돼지사육에관한기록과조선시대의양돈장인저권을제주에설치하고돼지를길렀다는기록들이있어유적지에서출토된돼지유존체들을둘중어느하나라고단정하기에는 무리가따른다 해요 제주 흑돼지는 오랜세월제주의기후와풍토에잘적응하여체구는작지만체질이강하고질병저항성이강하다고알려져있다해요하지만일제강점기인1908년을전후하여생산능력이낮은낮은재래돼지의능력개량을목적으로다양한개량종들이유입되어재래돼지와의잡종화가 많이일어났다고해요해방후에도1961년이시돌목장에서Berkshire와Large White품종도입을시작으로다수의개량종들이유입되어재래돼지의개체수가급감하는결과를초래되었다해요 1980년대 후반기에 이르러재래종에관한 관심과유전자원에대한인식이고조되면서재래종에대한조사와수집활동이연구측면에서시작되었고제주특별자치도 축산진흥원에서는 도내산간오지에서제주흑돼지성돈5두를구입하여순수계통번식사업을개시하였다해요이후축산시험장 (현국립축산과학원)에서는 이들후손들중일부를분양받아내륙지역재래돼지순수화복원연구사업을수행하기도했답니다
2021년12월제주특별자치도축산진흥원에서는현재재랫흑돼지328두를 사육보존중에있으며지금까지7728두를농가에보급하였다합니다


댓글